<칼레의 시민> 은 조각가 로댕(Rene-Francois-Auguste Rodin: 1840 - 1917)이 제작한 조각 작품입니다. 칼레市가 1347년 영국에 의해 포위되었을 때 시민들을 위해 밧줄에 목을 매어 처형받기로 자원한 6명의 칼레시민들을 조각한 작품입니다.
1347년 도버해협 양쪽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백년전쟁 때의 일입니다. 1년 가까이 영국의 공격을 막던 프랑스의 북부도시 칼레는 원병을 기대할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백기를 들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칼레시의 항복사절은 도시 전체가 불타고 모든 칼레의 시민이 도살되는 운명을 면하기 위해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에게 자비를 구하였습니다. 완강한 태도를 보이던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항복의 조건을 내 놓았습니다."좋다. 칼레시민들의 생명은 보장하겠다. 그러나 누군가는 그동안의 어리석은 반항에 대해 책임을 져야만 한다. 이 도시에서 가장 명망이 높던 대표적인 시민 대표를 골라 목에 교수형에 사용될 밧줄을 목에 걸고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로 영국군 진영으로 가서 도시의 열쇠를 건넨 후 목을 매 처형 받아야 한다."
시민들은 기뻐할 수도 슬퍼할 수도 없었습니다. 누군가 6명이 그들을 대신해 죽어야만 했기 때문입니다. 그때 용감하게 6명이 선뜻 나섰습니다. 모두 그 도시의 핵심인물이며 절정의 삶을 누리던 부유한 귀족이었습니다. 칼레에서 가장 부자인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가 가장 먼저 자원했습니다. "자 칼레의 시민들이여...나오라...용기를 가지고..."
그러자 시장이 나섰습니다. 상인이 나섰습니다. 그의 아들도 나섰습니다. 드디어 일곱 명이 되었습니다. 한 사람은 빠져도 되었지요. 제비를 뽑자는 말도 있었지만 그렇게 할 수 없었습니다.
생피에르는 "내일 아침 장터에 제일 늦게 나오는 사람을 빼자" 제의했고 이에 모두 동의했습니다. 그들의 고통의 밤은 그렇게 깊어갔습니다. 이튿날 이른 아침 여섯 명이 모였습니다. 그러나 생 피에르가 오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은 모두 그가 궁금했습니다. 모두 안 나와도 그는 나올 사람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이미 죽어 있었습니다. 죽음을 자원한 사람들의 용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칼레의 명예를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이 처형되려던 마지막 순간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왕비의 간청(당시 임신중)을 듣고 그 용감한 시민 6명을 살려주었습니다. 그로부터 550년이 지난 1895년 칼레市는 이들의 용기와 헌신을 기리기 위해 생피에르에 조각상을 제작하기로 하고 조각가 로댕에게 의뢰했습니다. 이 작품이 바로 <칼레의 시민>입니다. 1895년 6월 3일 기념상이 제막되었습니다.
비장한 슬픔으로 얼룩진 이 조각상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교훈을 남겨주었습니다.
유스타슈 드 생 피에르(Eustache de St Pierre).......
칼레시에서 가장 부유한 인물, 가장 연장자
장 데르(Jean d'Aire)......
항복의 표시로 영국왕에게 증정해야 할 칼레시의 열쇠들을 들고 서 있다..
걸어가며 동생 자크에게 무엇인가 말을 하고 있는 피에르 드 위쌍(Pierre de Wissant)
형 삐에르 드 위상의 뒤를 따르고 있는 동생 자끄 드 위쌍(Jacques de Wissant)
쟝 드 피엥스(Jean de Fiennes)
머리를 감싼 채 걷고 있는 앙드리에 당드르(Andrieus D'Andres)
출처 인터넷
************************
시간이 나시는 분만 한 번 읽어 보시길....
2008.3월에 썼던 글로 정치권과 종교계에서 노믈리스 오블리제에 대한 언급을 하면서 솔선수범을 하지 않는 그들을 보면서 쓴 글이다.우리교회의 고위층을 로얄페밀리와 고위층을 생각하면서 한 번 읽어보시도록
전략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노블리스라고 불리울 만한 자격이 있는 자도 업고 노블리스가 없으니 오블리지가 있을 리도 없다.
영국의 엘리자베스여왕의 손자로 왕위계승 서열 3위인 해리왕자가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고 있는 영국군에 근무하는 것이 호주의 언론에 밝혀지는 바람에 전 세계 사람들이 영국인들의 노블리스 오블리제 정신을 한 번 생각해 보게 된다.
결국 신분이 노출되는 바람에 혹시 테러의 표적이 되어 다른 병사들에게 위험이 될까하여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돌아갔다고 하며 근무 중에도 다른 사병들과 마찬가지로 위험한 작전을 같이 하였다고 하니 우리들로서는 그런 사고방식을 가진 왕자뿐만 아니라 그런 사고방식을 가진 그 나라 사람들이 존경스럽지 않을 수 없다.
사실 당연한 것임에도 그것이 감동스러운 것은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의 노블리스들의 행태와 비교가 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주변을 보더라도 권력을 가진 자나 부를 가진 자들의 자녀들이 군대를 가지 않아서 물의를 일으켜 왔고, 설령 그들이 군대에 간다고 하더라도 어떤 자리에서 어떻게 근무하다가 제대할 지는 군대를 갔다가 온 사람들은 다 알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이 일부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보통사람이나 노블리스들을 막론하고 공공이라는 개념의 확립이 덜 된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상 가능하기만 하다면 공적인 의무를 회피하고자 한다.
보통사람들은 그런 능력이 없기 때문에 회피하지 못하는 것이며 노블리스들은 능력이 있기 때문에 회피하는 것이다.
그들이 보통사람들보다 더 비도덕 적이거나 보통사람들이 더 도덕적이라는 것은 아니다.
보통사람들도 가능만 하다면 그들처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서양에서는 왜 노불리스 오블리제에 대한 의식이 확립되어 있고 우리는 그런 의식이 그 사람들만큼 그렇지 않을까?
우리나라 사람들이 비도덕적이기 때문에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세계의 어는 나라보다도 불의에 타협하지 않고 자존심이 강하며 열정적으로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적인 의무에 대한 개념 곧 병역이나 세무 등의 의무에 대해서는 서양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희박한 것은 민주주의의 역사가 짧았던 것도 이유가 될 수 있고 다른 이유도 있겠지만 농경사회를 기본으로 해서 살아왔던 혈연 지연 학연 인연을 중요시하는 온정주의도 한 몫을 하였을 것이다.
어떤 사람이 세금을 덜 내거나 국방의 의무를 소홀히 하더라도 자신에게 직접적으로 피해를 끼치지 아니하면 그 잘못에 대해서 관대하다.
관대한 것은 그것이 큰 잘못이라고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고, 잘못이라고 하더라도 이런 저런 관계 때문에 모질게 비난을 하지 못하는 거 때문이기도 한 것이 아닌가....
누군가 국방의 의무를 하지 않으면 그 누군가를 대신해서 다른 사람이 할 수밖에 없고 누군가 세금을 덜 내면 다른 사람이 주머니를 풀어야 하는 것을 알기는 하지만 자신이 직접 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주머니 끈을 풀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범죄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어떤 사람이 의무를 행하지 않으므로 인해서 다른 사람에게 시간적 금전적 손해를 가게 하는 것은 범죄행위가 아닌가?
그런데 노블리스들부터 그것을 범죄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든가 그것이 범죄인 것을 알더라도
그것에 대해서 비난의 강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비난을 하는 사람들도 자신도 기회만 되면 그렇게 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비난의 강도가 높아질 수가 없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큰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것은 도덕성과 관련된 죄를 지었을 때이다.
그런 죄를 지은 사람은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다하지 못한 파렴치한 인간으로 사회에서 용서를 받지 못한다.
아직 농경사회에서 씨족들끼리 모여 살던 때의 사고방식을 버리지 못한 때문이다.
서양 사람들이 공공의 의무에 대해서 동양 사람들보다 더 철저한 것은 그들이 우리보다 도덕적으로 나아서 그런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할 수밖에 없도록 하는 역사를 가졌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가 비윤리적이거나 비도덕적 문제와 관련되어 죄를 짓는 사람을 파렴치범으로 보는 문화를 가진 것처럼 그들은 공공의 의무를 회피하는 자를 파렴치범으로 보는 문화를 가졌기 때문이다.
그런 생각들이 보편화가 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사람들이나 노블리스들을 구분할 필요도 없으며 명예를 존중하는 노블리스일수록 그런 부분에 더 철저할 것이니 그들에게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당연한 것이다.
2차 세계대전이나 한국전쟁에서 사령관의 아들뿐만 아니라 이나 고위 장교나 고위직의 자녀들이 일반 사병과 마찬가지로 위험한 전투에 참가하여 많은 숫자가 전사하거나 부상당한 것을 보더라도 그들의 사고방식을 알 수 있다.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가장 귀감이 되는 사례로 칼레시의 부자였던 타슈 드 생 피에르라는 사람이 있었다. 로뎅의 유명한 조각작품인 ‘칼레의 시민의’의 모델이기도 한 이 사람은 영국과 프랑스가 백년전쟁을 하던 때에 칼레시에 살았던 칼레시의 부자였었다.
칼레시가 영국에게 함락되어 시가는 불타고 시민들은 죽음을 당할 처지에 놓였었는데 영국왕 에드워드 3세가 그들을 살려주는 대신 칼레시에서 존경받는 사람 중에서 교수형을 당할 사람 6명을 선출하여 밧줄을 목에 걸고 오라고 하였을 때 칼레 시에서 가장 부자인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라는 사람이 먼저 자원을 하게 되고, 다른 사람들도 자원을 하게 되어 7명이 되었다.
고통의 밤을 보내고 목에다 교수형을 당할 밧줄을 걸고 약속한 사람이 다 나왔는데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만이 나오지 않아서 사람들이 집에 가 보았더니 그는 이미 죽어 있었다.
한 사람이 남기 때문에 혹시 밤새 마음이 변한 사람들이 나오지 않을까봐 자신이 먼저 죽어버린 것이다.
왕비의 간청으로 6명은 결국 사면을 받게 되었다.
칼레 시는 550년이 지난 다음에 하여 칼레 시민을 구하기 위해서 목수믈 바친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를 기념하기 위해서 로뎅에게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의 동상을 의뢰하였고 로뎅은 그와 와 다른 여섯 명으로 ‘칼레의 시민이라는 작품으로 만들게 되었다.
(인터넷에서 한 번 읽어보시도록......)
우리나라에도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 같은 사람은 많이 있었고 지금도 있을 것이다.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개념과는 다른 방법으로 나라와 국민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주변에서 노블리스로 불리어지는 사람들의 행태는 대부분이 그렇지 못하다.
고귀한 신분을 가진 사람은 그만큼 사회에서 혜택을 많이 누리고 산 사람들이다.
그러니 당연히 그만큼 의무도 보통사람들보다 더 큰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 그런 신분을 이용해서 의무를 회피하는 행태가 용서되어서야 되겠는가?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명예와 연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우리의 선조들도 명예라면 목숨만큼 중하게 여겼었으나 지금은 우리의 주변에서 명예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을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다.
사람들이 많이 천박해졌다고 밖에 볼 수 없다.
천박한 사고를 가진 노블리스들이 많은 나라이다.
천박한 사고를 가진 노블리스는 노블리스가 아니다.
권력이나 돈을 가진 자가 고귀해지려고 하지 않는 사회나 나라에서는 정의가 실현되기 어렵다.
신약성서에 바리세인들이 예수 앞에 간음한 여자를 데리고 와서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문하였을 때 예수님이 그들에게 죄 없는 자부터 돌로 치라고 하자 모두다 가버리고 간음한 여자와 예수님만 남았다고 하였다.
우리가 노블리스들의 잘못에 관대한 것은 간음한 여자를 돌로 치지 못하는 것과 같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신이 비록 죄를 지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 죄를 지은 사람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죄를 추궁해야 한다.
잘못한 사람들에게 그 죄를 추궁하지 않는다면 죄를 지은 사람은 스스로 회개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2015년 6월 15일 월요일
Re:리더에 대해서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칼레의 시민들
2015.06.15. 19:50 http://cafe.daum.net/W-CARPKorea/cSkJ/26311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1+1= 2다. 그러나 글쓴이는 3.4.10. 100도 된다고 외치고 있고 그런당신에게 사람들은 능력있다고 박수를 보내겠구나
답글삭제그러나 현재를 보자.
형진님은 지금 통일가 식구들에게 회개하라고 외치고 계신다.
식구들은 우리가 무슨 회개할 것이 있다고 얼마나 메시아를 위하고 고생하고 힘들게 걸어온 길인데 회개라니 당치도 않다고 생각하고 미국에서 자라 아무것도 모르고 효도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식구들이 오히려, 단단히 사탄이 된 지도자들과 함께 형진님에게 맞대응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때 한국 통일가의 모두를 대표해서 외로운길 걸어가고 계신 이상열 한국회장님을 바라보면 글쓴이도 부끄럽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 분은 외로운 길을 걸어가고 계시겠지만 의로운 길이지 않겠는가.
예수님 마저 비하하고 있는 당신은 누구인가?
자녀가 있다면 당신이 원하는 모습으로 대하기를 바란다. 단호하게 죄를 추궁하기를